카테고리 없음

취약계층 자녀 학습지원 바우처 정리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정부·지자체 지원 프로그램 총정리]

사회복지정보 2025. 4. 13. 03:04

소득 격차가 교육 기회의 불균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부와 각 지자체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습지원 바우처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 바우처는 학원비, 교재비, 온라인 수강료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지원금 형태로 제공되며,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고 자기 주도 학습 역량을 키우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주요 학습지원 바우처 프로그램과 신청 조건, 지원금액, 활용처 등을 정리합니다.


목차

  1. 학습지원 바우처란?
  2. 주요 바우처 제도 비교표
  3. 연령대별 신청 가능 제도
  4. 신청 절차 및 준비서류
  5. 자주 묻는 질문 FAQ

1. 학습지원 바우처란?

학습지원 바우처는 저소득층,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보호대상아동 등 교육 취약 아동·청소년의 학습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현금성 지원금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해당 바우처는 지정된 교육서비스(학원, 온라인 강의, 학습지, 독서지도 등)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내역은 실시간 모니터링됩니다.


2. 주요 바우처 제도 비교표

제도명 운영 기관 대상 지원 금액 주요 사용처
교육급여 학습특별지원금 교육부·복지부 교육급여 수급 중·고생 연 30만 원 EBS, 학원, 독서앱 등
아이꿈누리 바우처 서울시 중위소득 80% 이하 초·중·고생 월 10~15만 원 학원, 체험활동, 도서구입 등
지역교육복지센터 바우처 지자체(광역시·도 교육청) 저소득층 초중고생 월 5~20만 원 내외 위탁학습·방과후활동
디지털 학습 바우처 여성가족부 보호종료아동 등 1인당 20~40만 원 노트북·태블릿 구매, 인터넷 강의 수강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여성가족부 위기청소년 사례관리+학습지원 맞춤형 지원 연계

3. 연령대별 신청 가능 제도

초등학생

  • 교육급여 학습비, 지역 교육복지센터 바우처, 아이꿈누리 바우처

중·고등학생

  • 교육급여 학습특별지원금, 서울바우처, 디지털학습 바우처, 방과후 학교지원사업

보호대상 청소년 (위기·보호종료)

  •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자립준비청년 학습바우처, 자활센터 연계교육 바우처

4. 신청 절차 및 준비서류

1. 신청 장소 및 방법

  • 교육급여: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온라인
  • 지자체 바우처: 지역 청소년센터·청년센터·복지관 등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디지털학습 바우처: 청소년쉼터·보호기관 또는 관할 교육청 연계 신청

2. 공통 필요서류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또는 수급자 증명서
  • 신청서 및 사용계획서 (일부)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바우처는 현금으로 쓸 수 있나요?
A. 아닙니다. 반드시 지정된 온라인몰, 학원, 교육 플랫폼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Q2. 온라인 수강권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EBS, 밀크T, 웅진 등 다수의 온라인 학습플랫폼과 연계되어 있습니다.

Q3. 중복해서 여러 바우처를 받을 수 있나요?
A. 일부 중복 가능하나, 유사사업 간 중복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Q4. 사교육과 공교육 모두 바우처 사용이 가능한가요?
A. 예. 단, 사교육기관은 바우처 가맹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취약계층 자녀의 학습 기회를 넓히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가구 소득 수준과 자녀 나이에 맞춰 신청 가능한 바우처를 적극 활용해 교육 기회의 격차를 줄여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