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기초생활수급자도 통신비 절약 가능! 이동통신요금 감면제도 총정리

사회복지정보 2025. 4. 29. 03:13

매달 나가는 통신요금,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부담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급자분들이 휴대폰 요금 감면 제도가 있다는 걸 모르고 그냥 납부하고 계시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장애인 등 대상 이동통신요금 할인 혜택을 정리하고, 신청 방법과 실제 절감 효과까지 한눈에 알려드립니다.


1. 기초생활수급자 통신비 감면 대상과 종류

구분 감면 대상 할인 내용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기초생활수급자 월 최대 26,000원 할인 (기본료+데이터 포함)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조건부 수급자 월 최대 11,000원 할인
차상위계층 중위소득 50% 이하 월 최대 11,000원 할인
장애인·국가유공자 별도 감면 가능 통신사별 요금제 추가 할인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통신요금감면제도 시행지침 2025


2. 감면 적용되는 통신서비스 종류

서비스 유형 할인 여부 비고
휴대폰 요금 O 음성통화·데이터 요금 포함
인터넷 + IPTV 결합 O 복지요금제 가입 시 적용
알뜰폰(MVNO) 일부 업체만 감면 적용 가능
유선전화 O 월 기본료 및 시내통화료 감면

팁: 통신사 직영 대리점 또는 고객센터 통해 MVNO 감면 여부 꼭 확인하세요.


3. 실제 할인 적용 예시

가구유형 기존 요금 감면 후 요금 절약 금액
1인 가구 생계급여 수급자 월 33,000원 월 7,000원 약 26,000원 절감
주거급여 수급 2인 가구 월 49,000원 월 38,000원 약 11,000원 절감
차상위계층 3인 가구 월 66,000원 월 55,000원 약 11,000원 절감

4. 감면 신청 방법: 주민센터 or 통신사 지점

  1. 방문 신청: 주민센터 또는 통신사 대리점 방문
  2. 지참서류:
    • 수급자 증명서
    • 신분증
    • 통신사 명의자 일치 여부 확인 필요
  3. 온라인 신청 (일부 통신사)
    • SKT: T월드 앱
    • KT: 마이케이티 앱
    • LGU+: 고객센터 앱에서 복지할인 신청 가능

팁: 통신사별로 일괄 자동감면 시스템이 없어 수급자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적용됩니다.


5. 알뜰폰 감면 가능한 대표 업체 (2025 기준)

업체명 복지할인 가능 여부 비고
헬로모바일 O 통신사 지점 통해 신청 가능
U+ 알뜰모바일 한시적 적용 후 해지 사례 있음
KT M모바일 X 복지할인 미지원
SK 세븐모바일 상담 후 일부 요금제만 적용

출처: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2025년 복지요금 안내 공시


6. 복지할인 놓치지 않으려면?

  1. 수급자 증명서 발급은 6개월마다 재제출 필요
  2. 이사, 요금제 변경 시 할인 자동 종료 가능성 있음
  3. 자녀 명의 요금제는 보호자 신청 필요

휴대폰 요금, 매달 내면서 ‘왜 이렇게 비싸지?’ 하셨다면 이제는 통신비 감면 혜택을 꼭 챙기세요.

생계·주거·교육급여 수급자는 물론, 차상위계층까지 월 최대 26,000원까지 할인 가능합니다. 작은 절약이 모이면 생활의 여유로 이어집니다.

이번 주 안에 주민센터 또는 통신사에 가셔서 꼭 신청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