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거동 불편 노인을 위한 병원 동행서비스 신청법
사회복지정보
2025. 5. 2. 07:19
728x90
“병원 갈 일이 생겼는데, 어머니 혼자 못 가세요…”
몸이 불편한 고령자나 독거노인에게 병원에 혼자 가는 일조차 큰 부담이 됩니다. 보호자도 일 때문에 동행이 어렵고, 택시나 구급차도 한계가 있을 때 정부나 지자체의 병원 동행서비스를 활용하면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거동 불편 노인을 위한 병원 동행서비스가 무엇인지, 대상자 조건, 신청 방법, 실제 제공 내용, 주의사항까지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1. 병원 동행서비스란?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또는 중증 질환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진료·검사 등을 받을 때 병원에 동행해주는 공공서비스입니다.
📌 돌봄SOS, 이동지원서비스, 노인맞춤돌봄사업, 민간 자원봉사단체 등이 연계 운영 중
2. 지원 대상자 조건
구분 | 기준 |
연령 기준 | 만 65세 이상 |
건강 상태 | 휠체어 사용, 보행 불가 또는 장기질환 치료 중 |
소득 기준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일반 노인 모두 가능 (우선순위 적용) |
가족 유무 | 독거노인 또는 주 보호자가 부재한 경우 우선 제공 |
✅ 일부 지역은 장애인, 중증질환자(암·중풍 등)도 병원 동행 서비스 이용 가능
3. 서비스 내용 예시
항목 | 내용 |
이동 동행 | 보호자 역할로 병원까지 차량 동승 또는 도보 동행 |
진료보조 | 접수, 진료실 동행, 처방전 수령까지 지원 |
복약안내 | 약국 방문, 복약설명 청취 및 전달 |
귀가 지원 | 귀가 시 차량 또는 동행자 동반 복귀 보조 |
휠체어 이동 | 보건소 또는 복지센터에서 휠체어 무상 대여 포함 경우도 있음 |
📌 운전봉사자 + 활동지원사 + 자원봉사 인력 혼합 지원하는 구조도 있음
4. 신청 방법 및 접수처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복지팀에 방문 또는 전화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또는 ‘돌봄SOS’ 항목 중 병원 동행 선택
- 기본 정보 및 건강상태 조사 후 대상자 등록
- 일정 조율 후 병원 동행 인력 배정 및 서비스 제공
✅ 서울시는 ‘돌봄SOS센터(120 다산콜)’를 통해 바로 신청 가능
5. 이용 시 유의사항
- 사전 예약 필수 (당일 신청 불가 지역 많음)
- 차량 제공 여부는 지역별 상이 (택시·복지차량·도보 동행 등)
- 중증 환자의 경우 전문의 진단서 등 추가 서류 요구 가능
- 응급환자는 해당 서비스가 아닌 응급의료체계(119) 이용 권장
6. 실제 이용 후기 예시
✔ 독거노인 A씨 (경기 수원)
“MRI 받으러 가야 하는데 혼자선 못 가겠다 싶었죠. 동사무소에 신청했더니 복지차량 타고 활동지원사분이 같이 가주셨어요. 진료 대기부터 약국까지 너무 든든했어요.”
✔ 70대 부부 B씨 (서울 성동구)
“남편 수술 후 통원치료 때마다 자원봉사자랑 사회복지사분이 번갈아 와주셔서 큰 도움 됐습니다.”
요약
- 병원 동행서비스는 거동 불편 노인을 위해 병원 방문 전 과정을 도와주는 공공 복지서비스
- 신청은 주민센터 또는 다산콜(서울) 등 지자체 경로 통해 가능하며, 사전예약 필수
- 이동, 진료동행, 복약, 귀가까지 지원하며 보호자 없는 노인에게 현실적인 대안 제공
✅ 어르신이 병원 가는 것이 힘들어지는 시점이 있다면, 부담 없이 동행서비스를 활용해보세요. 무료이면서도 큰 도움이 됩니다.
728x90